짧지만 풍요로웠던 마지막 프로젝트

전체 글 26

Unix 스타일

Unix 스타일은 어떤 Task가 맡은 일을 끝내고 조용히 다음 명령을 기다리는 전통적인 Unix의 동작 형태를 말한다. 결과를 요란스럽게 알리지 않고 조용히 프롬프트를 표시하면서 기다린다. 반면, 일을 잘 끝내지 못했던가 에러가 발생하면 세상 요란하게 알린다. 현실 세계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게 이렇게 일했다간 잘릴 위험이 있다. 요즘에는 회사에서도 SNS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소통이라는 이름으로 개인 핸드폰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물론 좋은 결과만 알리기를 바라기 때문에 실패했다는 사실을 숨기고 성공만 크게 부각시킨다. 사실 이렇게까지 소통을 할 필요가 없는데 소통병에 걸린 사람들은 광적으로 정보를 보내고 받고 있다. 자신의 JOB의 관점에서는 그리 좋지 않은데..

일상 2023.07.28

디테일이 없다면..

디테일은 프로그램에서도 아주 중요하지만 일상에서도 많은 영향을 준다. 직관이라고 하는 감각에 특히 관련이 있는데 내가 좋아하는 Criminal Intent의 형사 고렌이 아주 좋은 예다. 직관이란 보면 안다는 뜻인데 디테일을 잘 낚아채는 것도 선천적인 재능이 아닐까 한다. 생각나는 디테일의 예를 들자면, 이 사람, 논문 조작 진위 공방이 매스컴에 한창이었을 때 언젠가 억울하다며 드러누워서 병원에 실려간 적이 있다. 나는 이때 논문 조작이 확실하다고 느꼈다. 조작이 없는 자기 연구 결과를 누군가 폄하하고 모욕한다고 한다면 내가 황우석이라면 정말 화가 났을 것 같다. 병원이 아니라 기자 회견을 열어서 강력하게 대처를 하던가 어떤 형식이던 울분을 토했을 것 같다. 근데 엉뚱하게도 억울하다고 병원으로 간다? 이..

일상 2023.07.11

인터페이스, 추상화, 다형성

소프트웨어에서 인터페이스라고 하는 용어와 해당 랭귀지에서 제공하는 Interface라고 하는 예약어는 추상화와 관련이 있다. 여기서 추상화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추상화를 잘하면 좋은지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추상화란 말은 뭔가를 뽑아낸다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는데 뽑아내서 두리뭉실한 일반적인 것으로 표현한다는 뜻이다. 이렇게 하면 좋은 것은 인간이 이해하기 쉽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오늘 참 예쁘네요"라는 말을 아침에 누군가에게 들었다고 해보자. 예쁘다는 말은 추상적이다. 어떤 요소로 인해 예쁘다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지 모르지만 이런 관념적인 표현이 인간에게 기분 좋은 느낌을 가져온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일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우리가 일상에서 이런 류의 추상적인 표현을 상당히 많이 한다는 것을..

일상 2023.07.03

어느 스타트업 창업자

내가 볼 때 이 사람이 진정한 스타트업의 현실적 모델 같다. 바로 17년 전 인간극장에 소개되었던 분인데 '두더지 포획기'를 발명한 분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발명품을 조롱하고 무시하는데 충격을 받아 서럽게 우는 장면이다. 내 기억에 재미있게 봤던 에피소드인데 나의 경험과 오버랩되면서 위의 장면에서 가슴이 뭉클했던 기억이 난다. 사실 모든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이 그렇겠지만 자신의 아이디어가 당연히 시장에 먹힐 줄 알고 더 나아가 내 아이디어의 배경이 되는 고민을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같이 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었다는 점도 나와 똑같다. 다만 나와 이 분이 틀린 점은 포기하지 않고 시도를 했다는 점인데 무엇보다 해외를 노렸다는 점이 흥미롭다. 국내에서 두더지로 피해를 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상식적으로 ..

일상 2023.06.26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 역전) 이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에서 많이 쓰는 용어인데 '제어의 역전'이라고 번역하고 영어로는 'Inversion of Control'이다. 여기서 혼란스러운 것이 Inversion 이란 단어다. 역전, 뒤바꾸다 이런 의미인데 '관리를 뒤바꾸다'가 직역이 되겠다. 왜 관리(제어)를 바꾸는 게 좋은지 예를 들어보자. 어떤 회사에서 시스템을 하나 구축하기로 했다. 개발 회사가 아니므로 입찰 공고, 심사를 거쳐 개발 업체를 선정해서 진행하기로 한다. 담당자는 회사의 예산 부서, 계약 부서, 보안 부서등 관련 부서와 협의를 진행한다. 이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끝난 후 소프트웨어 회사가 선정되었다. 담당자는 선정된 업체와 함께 시스템을 완성한다. 여기서 관리(제어)를 담당하는 것은 담당자이다. 이 사람은 모든 절차(알고리즘..

일상 2023.06.19

약빨고 만든 노래

White Rabbit이라는 노래가 있다. 영화 Matrix의 '하얀 토끼를 따라가'라는 메시지를 받고 네오가 트리니티를 만날 때 사용했던 그 토끼다. Jefferson Airplane 이라는 그룹이 만들고 부른 노래인데 이 그룹은 60년대 히피 문화를 이끄는 대표적인 사운드였다. 아마 현재의 세대들은 대부분 모를 텐데 당시 미국은 LSD라고 하는 마약이 불법이 아니었고 평소 마약을 즐겨하시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약을 즐겨했다던 이 그룹의 싱어인 그레이스(Grace Slick)이라는 여자가 작곡했다고 한다. 가사를 보면, One pill makes you larger and one pill makes you small And the ones that mother gives you don't do anyth..

일상 2023.06.18

A.I. 가 인간을 능가할 수 있을까?

냔 아니라고 본다. 인간을 능가하려면 인간이 무엇인가 죽음뒤엔 어떻게 되는가에 대해 객관적인 해답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현재 시점에서 종교를 제외하고는 죽음에 대한 답을 주는 곳은 없다. 기독교는 천당과 지옥으로 죽음을 설명하고 불교는 윤회를 이용하여 죽음에 대해 설명한다. 사실 종교의 목적은 죽음에 대한 답이다. 인간은 죽으면 어떻게 될까? 한 인간이 살아생전에 가지고 있던 정보들은 죽으면 완전히 제로가 되어 리셋되는 것일까?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는 어딘가 생전의 인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Repository가 있다고 본다. 만약 이런 것이 없이 Reset 되는 것이 죽음이라면 새로 태어나는 아이는 0에서 시작하는 셈인데 천재성을 설명할 수 없다. 천재성은 우연히 두뇌의 작용..

일상 2023.06.16

멋지게 늙고 싶다.

어떤 사람이 멋지게 늙은 사람인지 참으로 이야기하기 어려운데 나는 영화 속의 두 사람같이 늙어 가고 싶다. 먼저 스파이게임의 뮈어. 외식 작전(Operation Dinner-Out)을 성공시킨후 CIA정문을 빠져나가면서(사실상 도망가는 것) 정문을 지키는 요원에게 인사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 뒤에 혼자 씨익 웃는 장면의 이미지는 찾질 못했다. 스파이게임은 2001년도 영화인데 상당히 재미있다. Netflix에도 있는 것 같은데 몇번을 봐도 재미있다. 그다음 인물은 A-특공대의 한니발. 이 사람도 씨익 웃으면서 '작전이 생각대로 맞아 들어가면 정말 기분 좋단 말이야'라는 대사를 하는 장면의 이미지를 구하지 못했다. 두 사람 다 매력적인 사람인데 영화배우라서 그런게 아니라 캐릭터 자체가 영리한 계획과 순발력..

일상 2023.06.15

히바로(Jibaro)

히바로는 넷플릭스에서 방영되고 있는 Love, Death and Robot이라고 하는 옴니버스식 애니메이션 영화의 한 에피소드다. Jibaro는 원래 의미는 푸에르토리코의 농부, 노동자를 뜻한다고 하는데 남자 주인공의 이름이라고 한다. 여자 주인공인 세이렌(Siren)은 반은 인간이고 반은 물고기인 여성(?) 으로써 목소리로 사람을 유혹해서 수장시킨다고 한다. 온몸을 빠지지 않고 보석으로 장식한 점이 흥미롭다. 히바로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군인으로서 세이렌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결국 세이렌의 보석을 탈취하는 데 성공했으나 연못의 물을 마신 후 청력이 되살아나는 바람에 결국 유혹에 넘어가 목숨을 잃고 말았다. 세이렌의 모습이 상당히 매혹적인데 동서양 여성의 장점만 합쳐서 만든 주인공이라고 한다. 그러고 ..

일상 2023.06.15

인터페이스(Interface) 란 무엇인가?

인터페이스란 단어는 어떤 분야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금씩 정의가 틀린데 예를 들어 하드웨어 제작 업체에서 말하는 인터페이스는 케이블로 연결된 하드웨어 장치를 말하는 경우가 많고 비즈니스에서 인터페이스란 타 부서/회사와의 접점 영역을 의미하고 인간들 간의 관계에서는 사람의 외형(속된 말로 와꾸) 를 의미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에서의 인터페이스는 중국집 메뉴판을 떠올리면 개념이 딱 맞아떨어진다. 어떤 중국집이 할 수 있는 요리가 무엇인가를 알려면 메뉴를 보면 되는데 이때 메뉴판이 인터페이스다. 메뉴판에 '짜장면'이 있다는 이야기는 이 중국집이 짜장면을 '만들줄 안다'는 뜻이고 손님이 초밥을 먹고 싶다고 난동을 부려봤자 메뉴에 없는 즉, 인터페이스에 없기 때문에 죽다 깨어나도 그 중국집에서는 초밥을 먹을 수..

일상 2023.06.13